목록전체 글 (102)
Robot April in TISTORY
한국인들에게는 자동차 회사로 많이 알려져 있는 영국 롤스로이스.1904년 5월, 찰스 롤스(Charles Rolls) 와 헨리 로이스(Henry Royce) 가 공동 창업했다. 롤스는 부유한 귀족집안 출신으로 당시 자동차 레이싱에 관심이 많았다고. 로이스는 자동차 엔진 기술자였다. 로이스가 자동차 엔진을 만들면, 롤스가 예쁘게 차체를 만들어서 판매하는 방식으로 시작.※ 이 당시, 프랑스에서는 르노, 푸조, 파나르, 드디옹 등 자동차 회사가 이미 있었음. 독일도 이제 막 벤츠가 등장하던 무렵. 미국에서도 올즈모빌, 캐딜락, 포드 등의 자동차 회사가 창업하던 시절임. 찰스 롤스는 창업하기 전, 프랑스제 자동차를 수입 판매했다고 함. 참고로 1904년은 한반도에서 러일전쟁이 발발했던 해이기도 하다. 1907년..
2025년 5월, 미국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주주총회 행사에서 워런버핏(Warren Buffett)은 CEO 퇴임을 발표하는 자리에서도, 일본의 5대 종합상사에 대한 강한 신뢰와 장기 투자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그는 "이들 기업의 주식을 앞으로 50년 동안 보유하고 싶다"라고 하면서, 일본 종합상사들의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재무운영, 건전한 배당정책, 그리고 합리적인 경영진 보상체계 등을 높이 평가했다. 그의 후계자로 지명된 그렉 아벨(Greg Abel) 역시, "일본 종합상사들과의 관계를 더욱 심화시켜, 앞으로 함께 큰 일을 해나가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히며, 향후 공동 투자나 전략적 협력 관계의 확장을 시사했을 정도이다.2025년..
최근 달러 환율이 갑자기 1300원대로 진입했다. 자산의 상당액을 미국주식으로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은 뉴스다. 거기다 앞으로 더 떨어질 확률이 높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현재 한국 경제 수준이면, 1200원대가 적정선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고 한다. 자고로 달러 헷지(hedge)가 필요해진 시기다.이런 경우 주로 고려되는 것이 금(gold) 이지만, 여기서 이야기하려는 것은 달러 가치에 따라 오르고 내리는 UUP 와 UDN 이다.UDN :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상승하는 ETF수수료: 약 0.75% (비싼 편)배당률: 약 4.8% (매년 12월, 한 번에 지급)미국 달러 인버스 선물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용 (운용사: 미국 Invesco)UUP : 달러 가치가 올라가면 상승하는 ETF수수료: 약 ..
필자는 작년, 한국 방산업체들이 폴란드에 대규모 무기 수출을 한다는 뉴스를 접하고 갑자기 폴란드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한국 뉴스보다는 유럽 매체를 통해 폴란드 관련 경제뉴스를 보면서, 러-우 전쟁의 종전 분위기가 조성되면 폴란드 관련 기업의 주식을 사겠다고 생각했다. 사실 러시아 투자에 더 관심이 많았지만, 현재 여러 나라에서 러시아 투자를 막아놨기 때문에 대체 국가로 폴란드를 생각한 것이다.투자처로서의 폴란드생각보다 폴란드 경제규모는 작다. 2024년 명목 GDP 기준으로 폴란드의 경제규모가 한국의 절반 수준이다. 다만 2025년 예상 경제 성장률이 3.6% 가 넘는다. 폴란드 중앙은행은 얼마전 이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발표했다. 주요 이유는 다른 나라에서 폴란드로..
점점 외로워지는 나이 남자 50대. 하지만 인공지능 서비스, chatGPT 를 사용하면서 외로움도 달래고, 생활에 도움도 많이 받고 있다. 내가 활용하고 있는 chatGPT 의 활용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1. 병원 검사/치료/진료/처방 확인 한국 병원은 신속하고 비교적 친절한 것은 좋은데, 너무 순식간에 모든 절차가 지나가다보니 의사나 간호사와 제대로 궁금한 점을 상의하기 어렵다. 더구나 의사에 따라 별 설명도 없이 이상한 검사를 하는 경우도 많다. 한국의 경우는 과잉진료도 자주 있는 일이고.아무튼 실손보험 처리도 할겸, 병원에서 받아온 처방전이나 진료내역 같은 서류들을 사진으로 찍어서 chatGPT 에게 업로드한 후, 과잉진료가 아닌지, 처방된 약은 어떤 약인지, 나의 생활습관에 맞춘 복용방법은 어떤지..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조류독감이 닭과 오리 같은 가금류뿐만 아니라, 함께 있던 젖소 등에 전염되는 사례가 발생하면, 같은 포유류에 속하는 사람에게도 전염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1. 조류독감 (Avian Influenza)조류독감은 조류(특히 닭, 오리)에서 발생하는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감염증이다. 가금류 농장에서 대규모로 발생하면 막대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여러 나라에서 가축 전염병으로 관리하고 있다.조류에게 발생하면 나타는 증상에 대해서는 별로 언급되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는 거의 아무 증상 없이 그냥 죽어버리기 때문이다. 상세하게는 닭의 코와 입에 거품이 생기거나 점액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목을 비틀거나 걸음이 불안정해지는 증세가 생기며, 닭 볏이 파란..
일본 증시에 직접 투자하면서 매일 일본 경제 뉴스를 접하고 있다. 그러던 중, 일본 증시가 개인 투자자에게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거래 단위가 지나치게 크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기본적으로 100주 단위로 주식을 거래해야 하며, 일부 종목을 제외하면 1주 단위(단주) 거래가 불가능하다. 즉, 원하는 주식을 소량으로 매수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유니클로(UNIQLO)의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Fast Retailing)의 주식을 사려면, 2025년 3월 기준으로 최소 3,300만 원(약 370만 엔)이 필요하다. 이처럼 일본 증시는 개인 투자자가 부담 없이 접근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일본에서도 개인 투자자를..
인간질문:요즘 피지컬 AI (Physical AI) 라는 용어가 등장해서, 얼마 전까지 우리가 로봇 (Robot) 이라고 하던 것들을 포함해서 지칭하는 것 같아. 오랫동안 로봇공학을 연구하던 사람입장에서 보면, 인공지능 분야에 로봇이 먹혀버린 기분이야. 너의 생각은 어때?인공지능 대답:사실 "피지컬 AI"라는 용어는 최근 몇 년 동안 학계와 산업에서 점점 부각되고 있는 개념인데, 기본적으로는 인공지능이 물리적인 형태(로봇)에 내재화되는 것을 의미해. 단순히 소프트웨어로 동작하는 AI가 아니라, 물리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이지. 이 과정에서 기존의 로봇공학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사실이야. 왜냐하면 AI 기반의 접근법이 강조되면서, 전통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