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ot April in TISTORY
일본판 ISA 계좌, NISA 본문
일본 증시에 직접 투자하면서 매일 일본 경제 뉴스를 접하고 있다. 그러던 중, 일본 증시가 개인 투자자에게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거래 단위가 지나치게 크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기본적으로 100주 단위로 주식을 거래해야 하며, 일부 종목을 제외하면 1주 단위(단주) 거래가 불가능하다. 즉, 원하는 주식을 소량으로 매수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유니클로(UNIQLO)의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Fast Retailing)의 주식을 사려면, 2025년 3월 기준으로 최소 3,300만 원(약 370만 엔)이 필요하다.
이처럼 일본 증시는 개인 투자자가 부담 없이 접근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일본에서도 개인 투자자를 위한 세제 혜택 계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의 ISA와 유사한 NISA가 그것이다.
일본의 NISA(Nippon ISA)는 한국보다 먼저 도입되었으며, 두 나라 모두 영국의 ISA를 모델로 삼았다. 하지만 일본 NISA와 한국 ISA는 완전히 동일한 제도가 아니다. 아래 표는 일본, 한국, 그리고 원조국인 영국 ISA를 비교한 것이다. 이 내용은 작성일인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ISA 제도의 원조국인 영국이 가장 큰 혜택을 제공하며, 그다음이 일본, 한국이다. 특히 세금 혜택 측면에서 영국과 일본은 투자 수익에 대해 조건 없이 전액 비과세인 반면, 한국은 일부 금액까지만 비과세가 적용되고 초과분에는 세금이 부과된다.
구분 | 일본 NISA | 한국 ISA | 영국 ISA | |
1 | 도입시기 | 2014년 | 2016년 | 1999년 |
2 | 도입목적 | 투자 활성화 | 절세혜택 | 장기투자 |
3 | 투자대상 | 주식, 펀드, ETF | 예금, 적금, 펀드, 주식, ETF, 파생상품 | 현금, 주식, 펀드(ETF 포함) |
4 | 투자한도 | 총액한도 (최대 1억 7천만원) | 총액한도 (최대 1억원) | 무제한 (연간 2만 파운드) |
5 | 세금혜택 | 비과세 | 과세 (낮은 세율) | 비과세 |
6 | 비과세 기한 | 무기한 | 계약기간 | 무기한 |
7 | 대상 | 개인투자자 (20세 이상) | 개인투자자 | 개인투자자 (16세 이상) |
이런 NISA 에서 일본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을 1등부터 10등까지 적어보면 아래 표와 같다. 해당 순위는 2025년 1분기 기준이며, 매분기마다 다소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6위였던 미쓰비시 상사가 1위로 급상승했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그 배경으로 최근 미국의 유명 투자자 워런버핏이 일본의 주요 종합상사 5개 주식을 계속 사들이고 있다는 소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참고로 워런버핏이 꾸준히 매수 중이라는 일본의 주요 종합상사 5개는 미쓰비시 상사, 미쓰이 물산, 이토추 상사, 스미토모 상사, 마루베니 이다.
순위 | 종목명 | 특징 |
1 | 미쓰비시 상사 | 일본 최고의 종합상사. 미국 워런버핏이 대량매수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인기 급상승. |
2 | JT (일본담배산업) | 한국의 KT&G 와 유사. 고배당으로 배당 생활자에게 인기. |
3 | NTT | 일본 최대 통신사. 2023년 주식분할로 개인투자자 접근성 향상. |
4 |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 | 일본 최대 금융회사. 고배당으로 은퇴자에게 인기. |
5 | INPEX | 일본 최대 석유 및 자원탐사 기업. 안정적 배당으로 인기. |
6 | 상선 미쓰이 | 일본 해운회사. 안정적 배당으로 인기. |
7 | TOYOTA 자동차 | 세계 1위 일본 자동차 회사. 안정적 실적. 한국의 삼성전자 입지. |
8 | 미쓰이 스미토모 파이낸셜 그룹 | 일본 주요 금융회사. 고배당으로 은퇴자에게 인기. |
9 | 다케다 약품공업 | 세계 10위권 일본 제약회사. 안정적 배당으로 인기. |
10 | 일본 우선 | 일본 해운회사. 고배당으로 인기. |
참고로 한국 ISA 에서 가장 인기 있는 주식과 ETF 순위는 삼성전자, 맥쿼리인프라, 포스코홀딩스, 미국 S&P 500 ETF, 미국 나스닥 100 ETF,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금현물 ETF, 금리형 ETF, 부동산 리츠 ETF, 2차 전지 ETF 라고 한다. 일본 NISA 와 비교해 보면 한국 ISA 는 특정 개별 주식보다는 다양한 테마에 분산 투자되어 있는 편이며, 특히 해외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경제(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화로 일본 은행에 투자하기 (0) | 2025.03.16 |
---|---|
미국의 북극항로 야심 (1) | 2025.01.12 |
환전/환율 계산기 (실시간) (0) | 202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