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8)
Robot April in TISTORY

최근 몇 년간 일본 증시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 한국 증시도 새 정부의 증시부양 의지만으로 최근 수개월 상승했지만, 결국 모두 거짓말이라는 것이 드러나면서, 역시나 하락으로 돌아서는 것 같다. 반면, 일본 증시는 2020년 코로나 이후 완만히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이어지더니, 그로부터 5년째인 2025년 8월에는 드디어 일본 경제 최 전성기였던 일명 '버블시대' 증시 최고점을 돌파하기에 이른다. 일본 증시는 지금이 최고 호황기다.이런 일본 증시 상승세의 가장 큰 원동력은 기업들의 적극적인 자사주 소각과 배당 확대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에서 일본 증시에 배당투자하고 싶은 사람에게 참고가 될만한 ETF 두 종목을 소개하겠다. 235A (Japan High Dividend 30)399A (일경 평균 고배당 5..

2016년 3월, 한국의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 미국 Google의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 사이의 바둑대국, 인간 VS 인공지능 간의 두뇌게임은 1:4 로 인공지능의 대승으로 끝났다. 이세돌은 이 대국을 계기로 바둑계를 떠났고, 그 뒤로 인공지능에게 승리한 프로 바둑기사는 단 한 명도 없다. 내년 2026년이면 그로부터 딱 10년이 되는 해이다. 지금 인공지능 분야가 돈을 빨아 들이고 있다. 인공지능의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데이터센터, 로봇, 전력 (원전, 전력망, 냉각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는 대량의 학습 데이터 (예: 데이터베이스, 사진, 동영상, 블로그, 뉴스, 지도, 의료정보) 등,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 걸쳐 영향을 주고 있다.여기서는 이러한 인공지능 분야에 투자할 수 있는 미..

한국의 개인 투자자는 미국 상장 암호화폐 현물 ETF 를 직접 매수할 수 없다. 한국 정부가 막아놨다. 아직 미국 주식시장에서 비트코인을 살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많지만, 암호화폐 투자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꽤 답답한 규제이다.이런 규제를 피해서 암호화폐를 미국 증시에서 간접 투자 방법 여러 가지 중 하나로, CRPT 를 사는 방법이 있다. 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겠다.이 ETF는 2021년 9월에 상장되었다. 운용사는 First Trust 와 SkyBridge Capital 이다. 연간 운용 수수료는 약 0.85% 로 다소 높은 편이며, 배당금은 연 1회 지급되는데 배당 수익률이 약 1.2% 에 불과하다. 사실상 배당금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구성종목은 암호화폐와 직접 관련된 ..

요즘 전 세계 전력 사용량이 폭증하면서, 단기간에 전력생산량을 올릴 방법이 원자력 밖에 없다는 공감대가 퍼지고 있다. 심지어 산유국들도 원자력 발전소 증설에 가담하면서, 향후 10년간은 원자력 테마에 돈이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아지고 있다. 다만, 지난 몇 년간 전기차가 세상 자동차를 모두 대체할 것 같은 분위기였지만, 현재는 그렇지도 않다는 것도 기억해야 한다.미국 증시에 상장된 관련 테마 ETF 가 여러 가지 있지만, 오늘 소개하려고 하는 것은 그중에서도 원자력 발전과 그 원료인 우라늄 생산, 그 밖에도 원자력 설비제조 및 서비스 업체까지 폭넓게 담고 있는 NLR 을 소개한다.2007년 8월, VanEck 자산운용사가 상장시킨 원전테마 ETF. 수수료는 약 0.56% 로 보통, 배당금은 거의 없다..

한국인들에게는 자동차 회사로 많이 알려져 있는 영국 롤스로이스.1904년 5월, 찰스 롤스(Charles Rolls) 와 헨리 로이스(Henry Royce) 가 공동 창업했다. 롤스는 부유한 귀족집안 출신으로 당시 자동차 레이싱에 관심이 많았다고. 로이스는 자동차 엔진 기술자였다. 로이스가 자동차 엔진을 만들면, 롤스가 예쁘게 차체를 만들어서 판매하는 방식으로 시작.※ 이 당시, 프랑스에서는 르노, 푸조, 파나르, 드디옹 등 자동차 회사가 이미 있었음. 독일도 이제 막 벤츠가 등장하던 무렵. 미국에서도 올즈모빌, 캐딜락, 포드 등의 자동차 회사가 창업하던 시절임. 찰스 롤스는 창업하기 전, 프랑스제 자동차를 수입 판매했다고 함. 참고로 1904년은 한반도에서 러일전쟁이 발발했던 해이기도 하다. 1907년..

2025년 5월, 미국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주주총회 행사에서 워런버핏(Warren Buffett)은 CEO 퇴임을 발표하는 자리에서도, 일본의 5대 종합상사에 대한 강한 신뢰와 장기 투자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그는 "이들 기업의 주식을 앞으로 50년 동안 보유하고 싶다"라고 하면서, 일본 종합상사들의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재무운영, 건전한 배당정책, 그리고 합리적인 경영진 보상체계 등을 높이 평가했다. 그의 후계자로 지명된 그렉 아벨(Greg Abel) 역시, "일본 종합상사들과의 관계를 더욱 심화시켜, 앞으로 함께 큰 일을 해나가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히며, 향후 공동 투자나 전략적 협력 관계의 확장을 시사했을 정도이다.2025년..

최근 달러 환율이 갑자기 1300원대로 진입했다. 자산의 상당액을 미국주식으로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은 뉴스다. 거기다 앞으로 더 떨어질 확률이 높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현재 한국 경제 수준이면, 1200원대가 적정선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고 한다. 자고로 달러 헷지(hedge)가 필요해진 시기다.이런 경우 주로 고려되는 것이 금(gold) 이지만, 여기서 이야기하려는 것은 달러 가치에 따라 오르고 내리는 UUP 와 UDN 이다.UDN :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상승하는 ETF수수료: 약 0.75% (비싼 편)배당률: 약 4.8% (매년 12월, 한 번에 지급)미국 달러 인버스 선물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용 (운용사: 미국 Invesco)UUP : 달러 가치가 올라가면 상승하는 ETF수수료: 약 ..

필자는 작년, 한국 방산업체들이 폴란드에 대규모 무기 수출을 한다는 뉴스를 접하고 갑자기 폴란드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한국 뉴스보다는 유럽 매체를 통해 폴란드 관련 경제뉴스를 보면서, 러-우 전쟁의 종전 분위기가 조성되면 폴란드 관련 기업의 주식을 사겠다고 생각했다. 사실 러시아 투자에 더 관심이 많았지만, 현재 여러 나라에서 러시아 투자를 막아놨기 때문에 대체 국가로 폴란드를 생각한 것이다.투자처로서의 폴란드생각보다 폴란드 경제규모는 작다. 2024년 명목 GDP 기준으로 폴란드의 경제규모가 한국의 절반 수준이다. 다만 2025년 예상 경제 성장률이 3.6% 가 넘는다. 폴란드 중앙은행은 얼마전 이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발표했다. 주요 이유는 다른 나라에서 폴란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