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ot April in TISTORY
일본 차세대 인프라에 투자하는 ETF, 2847 본문
일본 증시에서 투자대상을 검색하던 중, 흥미로운 ETF 가 있어서 여기에 공유한다. (참고로 이 블로그 글은 어떤 금전적 댓가도 받지 않았음)
소개할 ETF 는 일본 Global X 에서 2022년 3월 출시한, Japan New Growth Infrastructure ETF. 일본의 차세대 인프라 사업과 관련된 기업들을 모아 놓은 ETF 로, 주요 투자 대상은 통신, 물류, 교통, 의료, 에너지, 기반시설 분야의 기업들이다. 기존의 인프라 테마 ETF 들이 주로 도로, 철도, 발전소 같은 전통적 인프라 관련 업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 ETF 는 신성장 인프라 기업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종목코드는 2847, 운용 수수료는 약 0.65 % 로 패시브 ETF 중에서는 비싼 편이다. 요즘 일본증시가 상승추세라 최근 6개월간 수익률이 48.34% 로 굉장히 성적이 좋다. 배당은 연 2회 지급 (4월, 10월) 하고, 연배당 약 1% 정도이다.
구성 종목은 아래 표와 같다.
| 순위 | 종목코드 | 회사명 | 설명 (요약) | 비중 |
| 1 | 9984 | 소프트뱅크 그룹 | 일본 최대 지주회사. 통신, 투자, AI, 반도체 (ARM) 등 광범위한 영역을 커버하며, 손 마사요시 회장 주도의 비전펀드로 유명. 미국 기업 OpenAI 와 AI 서비스용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도 시작. | 13.9 % |
| 2 | 6701 | NEC | 정보통신 기업 중, 정부기관과 은행 등 광범위한 인프라 사업의 통신망, 통신보안, AI, 얼굴인식 시스템 등 다양한 사업분야 커버. 최근에는 방산분야 (레이더, 무기통합제어 등)에서 매출이 급증하고 있음. | 11.6 % |
| 3 | 6201 | Toyota Industries | 도요타 자동차의 계열사 중 하나, 물류용 실내 장비 제조 업체 (건설 장비 아님). 물류 창고 자동화 시스템과의 연계기술 보유. | 9.0 % |
| 4 | 6762 | TDK | 고부가가치 전자부품 (자기센서, 인덕터, 전력제어 등) 제조 세계 최상위 기업. 전기차와 스마트폰용 핵심부품 원천기술 중 상당 비율이 TDK 기술에서 나옴. | 7.5 % |
| 5 | 9432 | NTT | 일본 최대 통신 사업자. 한국의 KT 와 유사한 기업으로 일본 정부가 대주주. | 6.6 % |
| 6 | 9147 | Nippon Express | 일본 최대 물류 기업. 항공, 해운, 육상 운송 및 글로벌 공급망 보유 업체. | 5.7 % |
| 7 | 6370 | Kurita Water | 산업용 수처리 (정수, 폐수) 전문기업. 반도체, 발전소 등 대형 플랜트의 오염 저감 기술 보유. 초순수 시스템 설계 및 운영기술 등이 경쟁력. 한국 반도체 회사들도 Kurita 기술을 도입한 한국 초순수 수처리 업체 제품을 활용 중. | 4.9 % |
| 8 | 9064 | 야마토 운수 | 일본 최대 택배회사. 검은 고양이 택배 로고로 유명. 라스트 마일 물류 분야 1등. | 4.7 % |
| 9 | 4307 | 노무라 리서치 (NRI) | 일본 최대 IT 컨설팅 업체. 정부와 금융기관의 핵심 IT 인프라 구축 및 운용을 맡고 있음. 증권 결재 시스템(JASDEC), 은행 결재 시스템(BOJ-Net), 디지털 행정 시스템(Japan Digital Gevernment) 등 운용 중. | 4.3 % |
| 10 | 9143 | SG Holdings | Sagawa Express 라는 서비스 브랜드로 유명. 야마토 운수와 경쟁 물류 업체. | 3.8 % |
1. 소프트뱅크 그룹 (9984)
일본 소프트뱅크는 단순 휴대폰 통신 서비스 회사가 아닌, 일본의 인공지능(AI) 인프라 및 관련 기술 투자의 선도 기업이다. 영국 자회사인 반도체 설계업체, ARM 은 모든 모바일 기기용 두뇌에 탑재되는 핵심기술 보유 업체이며, 현재 미국 인공지능 최 선두 기업, OpenAI 와 협력하여 모바일 분야뿐만 아니라, 일반 통신 서비스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시행 중이다.
2. NEC (6701)
일본 NEC는 정부와 금융 기관의 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장비와 서비스를 운용하는 업체. 특히 일본 정부의 디지털화 사업과 국가 기간망의 통신보안을 맡아, 공공 통신 인프라의 핵심 기업. 최근에는 방산분야에서도 사업의 성과가 나오고 있다.
3. Toyota Industries (6201)
모 기업인 도요타가 자동차 선도 기업이라면, 도요타 인더스트리는 물류 인프라 자동화 및 효율화에 전문성을 가진 기업이다. 즉, 물류 창고용 지게차, 창고 자동화 시스템 (WMS), 스마트 물류 구축 등의 사업에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4. TDK (6762)
일본 TDK 는 전기차, 차세대 통신, 모바일 기기, 에너지 인프라 등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최상위 기업이다. 대표적인 상품은 전자기 센서, 인덕터, 전력 제어 부품 등이며, 이는 각종 전기 에너지의 충전 인프라와 전기 송배송 장비 및 전력을 관리하는 시스템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5. NTT (9432)
한국의 KT 와 유사한 업체로 일본 국가 기간 통신망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업체이다. 초고속 무선통신망, 초고속 유선 광통신망,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용관리 등을 총괄 책임을 맡고 있다. 망할 수 없는 일본 기업.
'경제(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달러 현금 방치 대신 이자주는 ETF, SCHO (0) | 2025.10.15 |
|---|---|
| 미국 공탐지수 활용 방법, Fear & Greed Index (0) | 2025.09.07 |
| 인공지능에 투자하는 AIQ, ARTY (3) | 2025.08.06 |
| 비트코인과 그 산업에 투자하는 CRPT (5) | 2025.07.30 |
| 워런버핏이 투자한 일본 5대 종합상사들 (0)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