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ot April in TISTORY
미국 공탐지수 활용 방법, Fear & Greed Index 본문
미국 증시에 투자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보는 여러 가지 지표 중에 대표적인 것이 미국 언론사 CNN 에 관리하고 있는 Fear & Greed Index (공포와 탐욕 지수) 이다. 현재 미국 증시 투자자들의 심리를 숫자와 그래프로 보여주는 바로미터이다.
공탐지수는 0 부터 100 까지 숫자로 표현되며, 0 에 가까울수록 미국 증시에 투자를 꺼리는 분위기가 강한다는 것 (즉, 공포 단계) 이고, 100 에 가까울수록 투자에 지나치게 몰입해 있다는 것 (즉, 탐욕 단계) 을 나타낸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공탐지수가 75 를 넘으면, 미국 증시가 과열되었다고 해석하며, 100 에 근접하면 단기 투자자들은 보유주식의 분할 매도를 한다고 알려져 있다.
공탐지수는 총 7개의 세부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출되는 값이다. 이들 세부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 시장 모멘텀 (market momentum)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S&P 500 지수를 최근 반년간 평균과 비교한 후, 평균보다 위에 있으면 현재 시장이 상승 모멘텀이 크다고 해석. 평균보다 아래에 있으면 그 반대로 해석한다.
2. 주가 강도 (stock price strength)
미국 증시에서 최근 1년간 최고가인 주식과 최저가인 주식의 종목수를 비교하여, 최고가가 더 많으면 현재 증시가 활기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최저가가 더 많으면 반대로 해석한다. 소수 대형주의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 전체의 착시효과를 줄이기 위해 활용된다.
3. 주가 폭 (stock price breadth)
미국 증시에서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주식의 거래량과 하락하고 있는 주식의 거래량을 비교하여, 상승 거래량이 많으면 상승장. 그 반대의 경우에는 하락장으로 해석한다. 오르고 내리는 주식의 수보다는 그 주식이 얼마나 활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다.
4. 매도 매수권 현황 (put and call options)
증시에서 '옵션 (options)' 은 매도권 (put), 매수권 (call) 을 말하는데, 날짜와 가격이 정해져 있다. 매도권 PUT 거래량이 증가하면, 증시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매수권 CALL 거래량이 증가하면 그 반대이다. 공탐지수에서는 PUT/CALL 을 숫자로 사용하며, 즉, 1보다 낮으면 CALL 이 많은 상태이니, 증시 상승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해석한다.
5. 시장 변동성 (market volatility)
공탐지수와는 별개로 아주 인기있는 지수, VIX (빅스). 앞에서 설명한 옵션의 거래량이 아닌 가격을 보고, 향후 1달간 증시가 얼마나 출렁거릴지를 숫자로 보여준다. VIX 지수가 높아지면, 주가가 급등락을 하기 시작하고, 장기 투자자 중심으로 돈이 안전자산으로 흘러가기 시작한다. 단기 트레이더들은 오히려 이런 급등락 시기에 큰돈을 벌기도, 잃기도 한다.
6. 안전자산 수요 (safe haven demand)
최근 한달간 채권과 주식 수익률을 비교해서, 채권이 더 좋으면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는 주식이 채권보다 수익률이 좋은 것이 정상이기 때문이다.
7. 정크본드 수요 (junk bond demand)
정크본드는 신용등급이 형편없는 회사채를 말한다. 이런 거지 같은 것이 잘 팔리는 상황은 누가 봐도 증시 과열이다.
'경제(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에 투자하는 AIQ, ARTY (3) | 2025.08.06 |
---|---|
비트코인과 그 산업에 투자하는 CRPT (5) | 2025.07.30 |
워런버핏이 투자한 일본 5대 종합상사들 (0) | 2025.06.02 |
달러 가치에 따라 오르고 내리는 UUP 과 UDN (1) | 2025.05.18 |
폴란드 기업에 투자하는 EPOL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