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로봇(Robot) (29)
Robot April in TISTORY

2014년 7월, 일본 SONY의 컴퓨터 사업부가 분사하여 만들어진, VAIO는 2020년 3월, VFR이라는 자회사를 설립하고, SONY 카메라 사업부에서 생산되는 고사양 영상 녹화장비를 탑재한 날아다니는 카메라 (즉 드론)를 시작으로, 날아 다니는 컴퓨터라는 컨셉으로 고성능 드론 시장에 뛰어든다고 발표했다 (사업명: 에어피크, Airpeak)미국을 시작으로 유럽과 일본에서 중국산 드론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에 맞추어, 중국이 선점하고 있는 중저가 보급형 드론과는 다른 고사양 드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갈수록 무인 비행체(드론) 기술이 상향 평준화에 됨에 따라 과거에 비행기술이 주도 기술이고, 카메라는 옵션으로 탑재되는 정도였다면, 앞으로는 무인비행 기술은 옵션이고, 탑재되는 영상처리 장치와 컴퓨..

※ 최근 관련 회사인수 관련 뉴스가 있어서, 내용의 일부를 업데이트 함.일본의 로봇 팔 관련 연구개발 업적으로 유명한 '리츠 메이칸 대학 (150년 역사의 일본 서부지역 4대 명문대 중 하나)' 출신들이 창업한 자동화 로봇 전문업체, Kyoto Robotics에서, 최근 물류 자동화용 로봇 제어 및 로봇의 눈 역할을 하는 영상처리 기술과 이를 활용한 지능화 기술을 발표했다. 2020년 12월에는 기술 시연회도 개최한다고 한다.Kyoto Robotics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폭발적인 비대면 전자 상거래의 증가로 인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물류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물류 자동화 기술 중 유일하게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아직도 인간 노동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팔레..

미국 IBM 노트북, 싱크패드(Thinkpad)를 인수하여, 고사양 노트북 컴퓨터 업체로 유명한 (2019년 기준 전 세계 개인용 컴퓨터 판매 1위), 레노버(Lenovo. 본사: 중국 베이징)가 가정용 청소로봇을 출시하더니, 이제는 아예 산업용 로봇, Daystar(晨星:첸싱)를 출시하였다는 뉴스가 나왔다.일본 로봇전문 뉴스 사이트, Roboteer의 2020년 11월 1일 발표 뉴스에 따르면, 3D 카메라를 탑재하여 증강현실(AR) 기술 등을 통해, 원격으로 조립 작업 및 도색 작업이 가능한 산업용 로봇을 출시하였다고 한다. 또한, 메카넘 휠(mecanum wheel)을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이동성이 좋은 옴니 디렉셔널 (omni-directional) 방식의 모바일 로봇 베이스 플랫폼을 통해, ..

Universal Robots (이하 UR), 2005년 (미국에서 YouTube가 태어난 해), 남부 덴마크 대학원생들이 설립한 중소형 협동로봇 제조 업체이다. 식품제조업체 자동화를 위한 로봇을 검토하던 중, 기존 로봇이 너무 크고, 비전문가가 취급하기 어렵다는 조사 결과에 따라, 중소기업에서도 부담 없이 구매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면 팔 수 있겠다고 생각하여, 회사를 만들게 됐다고 한다.현재 UR 로봇은 대당 약 2,500 ~ 3,000만원 정도에 팔리고 있는 것 같다. 2015년, 반도체 등의 자동 검사장비 제조업체, 미국 테라다인(Teradyne)社에 인수되면서, 미국 업체가 됐지만, 본사는 아직 덴마크에 있고, 2019년 기준 본사 직원 수만 600명이 넘는다고 한다. 간혹, UR..

로봇이 돈이 되는가?의료분야와 국방분야의 기술을 제외하면, 아마도 대부분의 기술이 결국은 돈이 얼마나 되느냐가 가장 큰 관심사일 것이다. 로봇 분야만도 의료로봇과 군사용 로봇 등이 있으니, 예외가 없지는 않겠지만, 정부가 됐든, 기업이든, 개인이든 결국은 로봇분야에 자금을 투자하는 것은 로봇산업의 생태계를 구축하여, 그 안에서 돈이 돌게 만드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일 것이다. 그럼 과연 로봇으로 돈을 만들 수 있을까?인간 대체 기술은 돈이 된다?필자의 다른 글에서도 언급한 적이 있다시피, 기본적으로 로봇기술이 가진 정체성(identity)은 바로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기술”이다. 즉, 인간의 기본 욕구 중 하나인 “힘든 노동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해 인간이 만들 기술이 “로봇”이고, 200년 전이라면 ..

자율주행 기술은 로봇 기술 중 하나였다.요즘 자율주행(self-driving) 자동차가 (writer's view: 영어로 자동차를 automobile 이라고도 해서인지 "자동 운전"이라는 말은 잘 사용하지 않는 것 같음) 신문 기사에도 자주 등장하는데, 본래 자율주행이라는 용어는 로봇분야에서 사용되던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사람을 대신하여 힘든 일을 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자율주행은 로봇이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A라는 장소에서 B라는 장소로 스스로 이동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을 말했었다. 요즘 자동차 분야에서 말하는 자율주행 기술은 과거의 로봇에서 말하던 자율주행과 거의 동일한 기술을 말..

중국 로봇 제조업체 중, 1위 업체중국 과학 아카데미에 의해 2000년 4월 설립된 국영 로봇 기업(공사:公社)이라고 한다. 중국은 공산당 1당 국가라, 어지간한 규모의 회사는 모두 국영 기업으로 봐야 할 것 같다. 산업용 로봇과 협동 로봇 그리고 산업용 모바일 로봇 등을 생산한다. 일본 Nikkei Asian Review紙, 2019년 7월 기사, “China’s tech spending surges as it strives to be robotics superpower”에 따르면, 2019년도 기준 중국 내, 자국 로봇 제조업체의 시장점유율이 40%를 넘는다고 한다. 그중에서 1위 기업이, Siasun Robotics 公社(공사: 국영기업)이며, 2019년 기준 직원수는 약 4,500명이라고 한다.세..

로봇 전시회에서 만난 미국인과 일본인이 공동 창업로봇제어 관련 명문대학교로 알려진 미국 CMU(카네기멜론 대학) 박사 출신의 Rosen Diankov(불가리아 태생)가 일본인 사업가 Issei Takino와 일본에서 공동 창업한 범용 로봇 제어기 및 로봇제어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이다. 두 공동 창업자는 일본에서 2년마다 개최되는 “iREX 2009”의 미국 Willow Garage社 전시부스에서 만났다고 한다. 당시 Rosen은 미국 Willow Garage社의 인턴 학생이었고, Issei는 이스라엘 ISCAR社의 기술영업 담당자였다고 한다. 일본 동경대 기술투자 펀드(UTEC: university of Tokyo edge capital)로부터 투자를 받아, 2011년 7월 도쿄에 본사를 설립했다. 기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