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03)
Robot April in TISTORY
인수·합병(M&A)이 부른 참사2016년 중국의 백색 가전기기 제조업체 메이디(Midea) 그룹이, 독일 KUKA 로봇 지분의 95%를 사들이면서, 메이디 그룹의 자회사가 되었다. 기계공학 기술로는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독일의 대표적인 로봇 기업이 중국의 냉장고 생산 업체에 팔린 것은 로봇 분야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로 중국 메이디 그룹은 일본 Toshiba 의 백색가전 사업부를 통째로 사들여서 성장한 기업. 이미 비슷한 방식으로 성공한 경험이 있음)KUKA가 2014년에 무리하게 인수·합병한 스위스의 스위스로그(Swisslog: 물류/의료 자동화 업체)社가 기대만큼의 사업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더니, 2년도 못 버티고, 창업한 지 120년도 넘은 독일의 가장 큰 로봇 회사를 ..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라는 단어의 창시자?야스카와전기(安川電機)는 다른 로봇 기업과 달리, 이런저런 합병이나 분사 없이, 1915년 창업부터 현재까지 백 년 이상, 한 회사로서 꾸준히 성장한 기업이다. 지금은 로봇 분야에서 누구나 사용하는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라는 용어를, 미국이 달에 사람을 보냈던 1969년에, 세계 최초로 상표등록(1969년) 한 걸로도 알려져 있다. 야스카와 최초의 로봇은 1974년 전시회에 출품된, 모토만(MOTOMAN)이며 이 로봇 모델은 현재도 계속 출시되어 판매 중이다.야스카와전기 로봇 자료 => https://www.yaskawa.co.jp/product/robotics 新たなる挑戦を続け、進化するロボット 1977年に日本で初めて全電気式産業用ロボッ..
인공지능 vs 로봇언론이나 교육자료, 심지어는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도, 인공지능과 로봇을 마치 하나의 개념을 가진 단어처럼 사용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두 용어가 가진 단 한 가지 공통점 때문에 그런 오해가 생긴 것 같은데, 바로 두 용어 모두, 인간을 모사(模寫, mimicking 혹은 imitating)하는 기술이라는 점이다. 이런 오해를 증폭시킨 범인은 아마도 SF 영화에 등장했던 로봇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하지만, 인공지능(AI)과 로봇은 서로 별개의 기술 분야이고, 함께 혼용해 사용해서도 안 되는 용어이다. 물론 개념적으로는 겹치는 부분이 있기는 하다.인공지능(AI)지능(知能), 즉 “학습이나 경험을 통해, 처음 접하는 새로운 문제에도 대응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은 극히 최근까지도 ..
국적 없는 회사ABB는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의 평판이나 시장 점유율에 비해서는 그다지 역사가 오래된 회사는 아니다. 한국에서 올림픽이 열리던 1988년, 스웨덴 회사 ASEA와 스위스 회사 BBC가 합병하여 만들어진 회사가 현재의 ABB. 서류상의 본사는 스위스에 있지만, 실질적인 본사는 미국에 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다국적 기업으로, 미국, 스위스, 스웨덴 등의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다. ABB 로봇사업부는 2017년 오스트리아(유럽)의 B&R을 인수하여 로봇뿐만 아니라 로봇용 제어기와 소프트웨어 부문까지 사업을 확장하였으나, 2019년 실적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로봇사업부 매출은 B&R 인수 전보다도 하락하였다.ABB의 로봇은 대부분 유럽에서 개발하고, 생산은 유럽과 중국에서 하고 있다. 특이하게..
컴퓨터 회사의 자회사로 시작현재,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점유율 1위의 일본 화낙(Fanuc)은 지금으로부터 약 50년 전인 1972년, 컴퓨터와 통신장비를 만들던, 후지쓰(Fujitsu)의 자회사로 시작했다. 당시 제조업을 기반으로 눈부시게 성장하던 일본 내에서, 기계 가공에 필수적인 공작기계와 (당시로서는 최첨단 기술이었던) 제조용 로봇 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고, 해당 사업이 흑자로 전환되자마자 모회사로부터 분사하여 현재의 화낙(Fanuc)이 설립되었다고 한다.일본에서 Fanuc의 회사 이미지는 초 고연봉(예: 부장급 평균 연봉이 약 3억 원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음)에 초 엘리트 인력(예: 최고 명문대일 뿐만 아니라, 그중에서도 가장 잘 나가는 학과의 인력)만 채용하는 회사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시간 날 때마다, 국내외 산업용 로봇 기업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전세계 산업용 로봇 10대 중, 8대는 일본 로봇Asian robotics review紙의 2019년 8월 기사에 따르면,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점유율 랭킹은 1위 일본 화낙(Fanuc), 2위 일본 야스카와(Yaskawa), 3위 스위스 ABB, 4위 일본 카와사키(Kawasaki), 5위 일본 낫치(Nachi), 6위 중국(독일) KUKA, 7위 일본 덴소(Denso) 순이다. 한마디로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 시장의 10대 중 8대는 일본 업체의 로봇이다. 이러한 시장 지배력의 핵심은 성능에 대한 높은 신뢰성과 경쟁력 있는 가격 그리고 오래 사용해도 여전히 기술지원이 되는 안정적인 유지보수 서비스 때문이다.기계 구조해..
수중 작업 로봇이 여기저기 현장에 사용되기 시작할 무렵부터, 가끔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구매나 기술도입 문의가 오기 시작했다. 그때 가장 많은 질문이 그래서 “그 기술이 얼마인가요?”였다.사실은 기술을 개발한 나 역시, 이 기술이 얼마짜리 기술인지 알 수가 없었다. 다들 기술을 만든 사람이 기술의 가격을 산정하는 줄 알고 있던데, 현실에서는 별거 아닌 기술이 여기저기 많이 사용되서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기도 하고, 굉장히 어려운 기술임에도 아무도 사는 사람이 없는 기술은 0원이 되기도 하는데 말이다.아무튼 이 기술에 관심 있는 사람이 해당 기술의 가격이 얼만지 물어봤을 때, “나도 잘 모르겠는데요”라고 대답하는 것도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런저런 자료도 읽어보고 혼자서 고민도 해보았는데..
어느덧 수중 작업 로봇 분야를 연구한 기간만도 10년이 훌쩍 넘었다. 물론 이 분야만 해 온 건 아니지만, 수중 작업 로봇 분야만 이야기하자면, 사실 그동안 큰 혁신보다는 초기 아이디어 고유의 성능과 기능의 안정성 확보 위주로 시간을 보낸 것 같다. 현실에서는 아무도 혁신을 바라지 않았고, 만일 혁신을 연구하고 싶다면, 너 돈으로 하라는 분위기가 강했다. 남들 눈으로 보기에는 혁신으로 안 보였던 탓이 크겠지만.연구자는 다른 연구자의 아이디어와 연구 주제를 평가하는 때도 있지만, 역시나 대부분은 돈을 대는 투자자나 정부 부처의 공무원 혹은 소위 해당 분야 전문가라는 평가위원들로부터 평가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수중 작업 로봇 분야를 연구하면서, 투자자와 전문가라는 사람들로부터 정말 여러 번의 평가를 받아..